본문 바로가기
건강

눈 속의 날파리 비문증 - 원인, 치료, 예방

by A선생 2024. 5. 31.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문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며 눈에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비문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요즘은 젊은 나이에도 비문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오늘은 비문증의 원인과 치료, 예방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문증이란?

비문증이란 눈 앞에 벌레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무언가가 떠다니는 것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검은 점들이 눈 앞에 떠다니지만 손으로 잡으려고 해도 잡히지 않는 증상을 호소하는데요. 비문증은 그 자체가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증상들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비문증은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며 병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비문증은 많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이며 그 중 많은 경우가 큰 문제가 없는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40대 이상에서 나타나며 50대가 넘어가면서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원인에 따라 젊은 연령에서도 종종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비문증이 왜 나타날까? - 비문증의 원인

비문증의 원인은 다양한데요. 가장 흔한 원인은 노화에 의한 현상입니다. 눈 속은 유리체라고 하는 젤리같은 성분의 물질로 가득 차있습니다.  눈 앞의 물체가 눈 안에 망막에 초점을 맺기 전에 눈 안의 유리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리체는 맑고 투명한 성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유리체가 혼탁해지거나 유리체에 다른 물질이 들어가는 경우 망막에 초점이 제대로 맺히지 못하고 그림자가 져서 어둡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눈 앞에 떠다니는 물질이 보일 수 있는데요. 나이가 들면서 유리체가 두꺼워지고 주름지면서 부유물이 발생해 떠다니는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근시가 심한 경우 비문증이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생리적인 현상으로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비문증은 병적인 질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망막 박리, 망막 열공, 유리체 출혈, 망막 정맥 폐쇄 등 눈의 병변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드물긴 하지만 치료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비문증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안과에 내원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비문증의 치료

일반적으로 비문증은 시력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눈 앞에 파리나 검은 점이 떠다닌다고 해도 그 수가 적은 경우 신경쓰지 않고 지내다보면 무뎌지거나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속해서 떠다니는 것에 집중하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가고 더 안보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신경쓰지 않고 지내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대부분의 비문증은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비문증이 너무 심한경우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거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떠다니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 병적으로 비문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망막 열공이나 망막 박리가 있습니다. 망막 열공이란 망막층에 구멍이 나는 것을 말하는데 망막층이 조금 떨어져나와 유리체내부에서 떠다니면서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구멍난 부분 주위에 레이저 치료를 해주어야 합니다. 망막 열공이 악화되어 망막박리로 진행되는 경우 시야가림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이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병적인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비문증은 질환에 맞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비문증의 예방 방법

비문증은 노화에 의해 발생하지만 그 발생을 늦추는 방법은 있습니다. 비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이습관이 중요한데요. 평소에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된 딸기나 양파, 양배추 등의 과일이나 채소를 많이 섭취해주거나 결명자, 구기자차 등을 복용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비문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부분은 노화에 의해 발생하지만 근시가 심하거나 성상유리체증 등은 젊은 나이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혹 병적인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가까운 안과에 내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