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게시물에서는 백내장의 증상, 예방 방법, 수술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게시물에서는 백내장 수술 후 관리 방법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백내장 수술은 점안 마취로 가능하고 수술시간도 짧아 간단한 수술에 속합니다.
하지만 수술이 짧고 간단하다고 수술 후 관리를 소홀히 하면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백내장 수술 후 발생 가능한 부작용 및 수술 후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내장 수술 후 부작용
백내장 수술은 안전한 수술에 속하지만 그래도 수술 후 다양한 부작용, 즉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후발백내장
백내장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는 후발백내장입니다. 후발백내장이란 후낭혼탁이라고도 하는데 인공수정체를 넣은 주머니(낭)가 혼탁해지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후발백내장이 나타난 경우 시력저하, 빛 번짐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보통 수술 3-5년 후에 많이 나타납니다. 후발백내장은 레이저 시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며 적절한 레이저 치료를 마치면 재발은 되지 않습니다.
2. 안내염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안내염이 있습니다. 수술 후 눈에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 생기는 질환인데요.
백내장 수술환자의 대략 0.1-0.2%에서 안내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안내염의 증상으로는 통증, 시력저하, 충혈, 눈꺼풀 부종 등이 있습니다.
안내염의 경우 안내주사 및 수술, 항생제 투여로 치료하게 됩니다. 적절한 치료를 잘 받는 경우 시력 회복이 가능하지만 간혹 치료가 늦어지거나 감염이 심한 경우 등 영구적인 시력저하, 심한경우 실명 및 안구 적출이 필요할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한 질환입니다.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안내염의 경우 수술 후 1주일 이내 발생하는 경우가 60%가량 차지합니다. 초기 처치가 늦어지면 예후가 안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병원 내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그 외
또 수술 시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 간혹 야간 빛 번짐, 달무리 증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지만 종종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기 때문에 야간 운전을 많이 하는 환자의 경우 담당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그 외에도 망막박리, 녹내장, 망막부종 등 드물지만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니 수술 후에도 꾸준한 안과검진을 받는 것이 좋으며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에 내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내장 수술 후 관리법
앞서 말한 것처럼 백내장 수술 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후 관리가 중요합니다.
그중 특히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안내염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백내장 수술 후 안내염 예방을 위해 꼭 지켜야 하는 관리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안약 점안
가장 중요한 관리법 중 하나는 안약 점안입니다. 수술 후 병원에서 처방해 주는 항생제 안약 및 기타 안약들을 처방에 맞게 잘 점안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내염은 결국 세균, 진균 등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안약 점안을 잘해주는 것이 안내염 예방에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오늘은 안 넣어도 되겠지'라고 안일하게 생각했다가 안내염이 발생하면 여러 면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에 귀찮더라도 잘 점안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위생
두 번째 관리법은 위생관리입니다. 모든 수술은 위생이 중요한데요. 앞서 말했듯이 안내염은 감염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감염의 원인이 되는 세균의 유입 자체를 막는 것이 확실한 예방법이겠죠. 백내장 수술은 각막을 절개하여 진행되고, 그 절개창을 통해 세균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눈에 세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손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 수술 후 눈에 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약 2주 정도는 세수, 머리 감기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탕은 4주 정도는 가지 않는 것이 좋으며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음주도 약 1달가량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병원 진료
이 부분도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수술 후 주기적인 경과관찰은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기 때문에 예약일에 맞춰 내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귀찮거나 특별한 증상이 없어 수술 후 병원 내원을 하지 않는 분들도 계신데요. 증상이 없거나 미미하여 그냥 넘어갔다가 늦게 부작용이 발견되는 경우 예후가 더 안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금 귀찮더라도 병원에서 정해준 내원 날짜에 맞춰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 1주 이내 발생하는 합병증도 있지만 수주에서 수개월, 길게는 수년 후에 발생하는 부작용도 있기 때문에 꾸준한 병원 진료를 받고 조금이라도 불편하거나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진료를 받는 것이 더 큰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및 수술 후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백내장 수술은 간단하지만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사람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부작용이 언제든지 나에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전 미리 어떤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지 알고 있다면 수술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수술 후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심각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잘 관리하여 건강한 눈을 가집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속의 날파리 비문증 - 원인, 치료, 예방 (0) | 2024.05.31 |
---|---|
눈침침 할 땐? 백내장의 모든 것 (1) : 증상, 수술 및 예방 방법 (0) | 2024.05.28 |